본문 바로가기
뉴스

김민석 총리 후보자, '9장 차용증' 논란… "허위 용어 주의해야" 반박

by 크립토스탁 2025. 6. 16.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싼 '9장 차용증' 논란이 뜨겁습니다. 지난 2018년 4월 5일, 9명으로부터 각각 1천만 원씩, 총 9천만 원을 빌렸다는 사실이 알려진 가운데, 이 차용증들이 모두 동일한 형식과 계약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채권자 중 일부가 과거 김 후보자의 정치자금 관련 사건과 연루되어 있거나, 미상환 상태에서 후원금을 냈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허위 차용증' 의혹까지 불거지고 있는데요. 김 후보자는 이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적극적인 해명을 예고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동일 형식 9장 차용증, 채권자 정보만 달라 논란 가중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작성한 9장의 금전소비대차계약서(차용증)가 논란의 핵심입니다. 이 9장의 차용증은 모두 2018년 4월 5일이라는 동일한 계약 일자를 명시하고 있으며, 1천만 원을 빌린다는 핵심 내용과 네 개의 조로 이뤄진 계약 조건 등 세부 형식이 9장 모두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단, 돈을 빌려준 채권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도장 등 채권자 정보만 다른 상황입니다. 마치 같은 양식에 채권자 정보만 바꿔서 기재한 듯한 모습에 의혹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러한 차용증의 형태를 지적하며 '허위 작성'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특정 날짜에 여러 명에게 일괄적으로 같은 조건으로 돈을 빌렸다는 점, 그리고 그 차용증의 형식이 동일하다는 점이 통상적인 금전 거래 방식과는 다르다는 주장입니다. 이는 김 후보자의 도덕성과 총리 후보자로서의 적격성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채권자와의 특수 관계 의혹: 과거 정치자금 사건 연루 및 후원금 기부

단순히 차용증의 형식 문제에 그치지 않고, 일부 채권자와 김민석 후보자 간의 특수 관계 의혹까지 불거지며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9명의 채권자 중 한 명인 이 모 씨는 김 후보자의 2008년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 당시 불법 정치자금 2억 5천만 원을 제공했던 강신성 씨가 대표로 있는 회사의 감사로 재직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강신성 씨 또한 같은 달 이틀에 걸쳐 김 후보자에게 4천만 원을 빌려줬는데, 2020년부터 2024년 초까지 이 돈을 돌려받지 못한 상태에서 김 후보자의 국회의원 후원회장으로 활동한 사실이 추가로 드러났습니다.

또 다른 채권자 김 모 씨의 경우에도, 미상환 상태에서 지난해 3월 김 후보자에게 500만 원을 후원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채권자들이 받을 돈을 독촉하지도 않고 후원금까지 낸 것이라면 애초 상환 의사가 없었던 것 아니냐"며, 이는 "김 후보자와 정치적 자웅동체"라며 맹공을 퍼붓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혹들은 차용증이 단순한 금전 대차가 아닌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작성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김민석 후보자 "허위 용어 주의" 강한 반박, 적극적 해명 예고

김민석 후보자는 이러한 '허위 차용증 의혹'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출근길 기자들의 질문에 그는 되돌아와 "허위 차용증이라는, 허위나 확인되지 않은 용어를 쓰는 것을 주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일갈했습니다. 또한, 김 후보자는 오늘 새벽 자신의 SNS를 통해 2002년 '1차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에 대해 "본질은 정치검찰의 표적 사정이었다"고 언급하며 적극적인 해명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그는 정치자금 사건의 내막과 채무 변제 과정 등을 앞으로 하루에 하나씩 설명하겠다고 밝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쟁점화된 이번 논란에 대한 정면 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인사청문회 시작 전부터 김 후보자를 범죄자로 낙인찍고 거취 표명까지 요구하는 것은 "새 정부 초기부터 발목을 잡겠다는 정치 공작"이라고 주장하며 김 후보자를 옹호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사청문회 전부터 뜨거워지고 있는 이번 논란이 김민석 총리 후보자의 인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