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llbing

인간관계가 2배로 늘어나는 대화 스킬, 바로 적용 가능합니다.

by 바이탈하모니 2024. 2. 9.

인간관계가 2배로 늘어나는 대화 스킬, 바로 적용 가능합니다.



1. ️효과적인 대화를 위해서 상대방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더 구체적인 질문이 필요하다.
- 형식적인 질문을 하는 건 효과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 관심사가 겹치지 않는 경우 상대방이 판단받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대방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개인적인 질문*을 해야한다.
- 그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어진다.
-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닫혀있는 주제도 존재하므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 내 관심사 위주가 아닌, 상대방에 대해 이해하려는 마음을 갖고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2. ️ 부정적인 이야기는 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 탈피가 필요하다.
- *직장에서*는 타인에 대해 하소연하지 말아야한다. 비난적인 발언은 사실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며 적극적이지도 않다.
- 험담을 풀어내는 것은 좋지 않다. 예측가능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예상치 못한 반응을 해야한다. 타인과 대화할 때 능동적으로 듣고 대화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 이러한 태도로 말과 행동을 바꾸어 가며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문화를 만든다.
-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만든다."

3. 효과적인 질문 방법과 대화 중 예상치 못한 질문에 대한 대처법에 대해 설명
- 취업 특강에서, 질문을 할 때는 요약하여 하나의 답변으로 만들어야 하며, 좋은 질문은 타인이 나를 알아서 홍보해 주는 힘이 있다고 강조한다.
- 일부러 꼬리 질문을 유도하거나, 시나리오를 예측하는 행동은 대화를 흐르게 하지 않으므로 예상하지 않아야 한다.
- 효과적인 질문은 상대방이 내 편이 되도록 도와주고 대화를 이끌어낸다고 설명한다.

4. ️ 적극적으로 상대방에게 질문하며 대화하는 방법과 태도
- 형식적인 질문보다는 개인에게만 할 수 있는 질문이 더 좋다.
- 열린 질문은 대화의 시작이 되고, 상대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대화할 때는 상대방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으며, 인간 중심의 질문을 해야 한다.
- 상대방과의 대화를 즐기기 위해 열린 마음으로 무엇이든 물어봐야 한다.

5. ️️인간 중심의 대화 방법
- 날씨, 정치, 산업 등 뻔한 주제로 대화하는 것 보다 인간 중심의 대화를 하는 것이 좋다.
- 인간 중심의 대화란, 상대방이 좋아하는 대상, 행동, 취미 등 *개인적인 경험*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다.
- 상대방이 애정하는 대상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더 가까워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 "시네마 천국"과 같은 구체적인 주제로 끝없는 질문 형식 대신, "영화를 볼 때 그냥 몰입하는 게 좋아요"와 같은 감성적인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이 더욱 인간 중심의 대화 방식이다.

6. 좋은 대화론 지속적인 질문과 함께
- 주로 바쁜 사람들과의 대화 기회가 있을 때, 대화를 계속하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이 좋은 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 *남의 이야기를 듣고 궁금한 점을 자주 묻는 것*이 바른 방법이며, 말문이 트이면 상대방이 자유롭게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힌트가 될 수 있다.
- 다만, 신중함이 필요하며, 상대방의 무난한 이야기를 깊이 있게 듣는 것이 유대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 따라서 나이나 분위기 따위로 대화를 유도하지 말고, 하나하나 대화를 귀 기울여 듣는 것이 좋다.

7.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궁금해하자.
- 상대방이 더 많은 말을 하게끔 만들면 내 편이 된다. 세상엔 상대방의 말을 잘 듣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인간은 외로움을 느끼는데, 누군가 나 자신에게 깊이 있는 질문을 계속해주면 마음이 편하게 느껴진다.
- 고독이 나쁜 감정은 아니지만,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정적인 것 같다.
-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궁금한 질문을 계속해서 하면 빠져들기 쉽다.
- 따라서 여러분이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질문을 통해 깊은 대화를 나누길 추천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jVdvY4Ri2U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