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51명 연판장: 한덕수 대망론 급부상
2025년 4월 11일, 국민의힘 의원들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준비 중이며, 벌써 51명이 동참 의사를 밝혔다. 성창경TV 보도에 따르면, 오는 4월 13일(일요일) 기자회견에서 발표될 이 성명서는 목표 참여 인원 60명을 향해 달리고 있다. 이는 전체 의원 108명의 절반을 넘는 숫자로, 한덕수 대망론이 당내에서 심상치 않음을 보여준다.
중앙일보(4월 11일) 보도에 따르면, 4선 박덕흠, 3선 성일종, 재선 박수영·김미애 의원이 주도하며, 초선 의원도 “10일부터 전화로 참여 의사를 확인 중”이라고 전했다. 당내에서는 “한덕수라면 이재명(지지율 37%, 갤럽 4월 10일)을 꺾을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덕수 대망론의 배경: 트럼프 통화와 경제 전문성
한덕수 대망론은 그의 안정적 국정 운영과 국제적 신뢰에서 비롯된다. 4월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트럼프가 “대선에 나갈 건가?”라고 물었고, 한덕수는 “여건과 요구를 검토 중”이라며 부인하지 않았다. 중앙일보는 이를 “트럼프 참모들이 한덕수를 유력 후보로 보고 있다”고 보도하며, 누군가 의도적으로 흘린 정보로 추측했다.
50년 공직 경력, 주미대사, 두 차례 총리직을 수행한 한덕수는 “통상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CNN 인터뷰와 트럼프의 “뷰티풀 잉글리시” 극찬은 그의 국제적 위상을 보여줬다. 국민의힘은 “경제와 안보 위기에서 이재명을 막을 카드”로 한덕수를 밀며, 주말 사퇴 후 무소속 출마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국민의힘 내부 갈등: 경선 vs 무소속 단일화 논란
국민의힘은 4월 14일부터 대선 경선 후보 등록을 시작한다. 한덕수가 경선에 뛰어들면 기존 주자(김문수 9%, 한동훈 4%, 갤럽 4월 10일)와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당내에서는 “주말까지 결단하지 않으면 무소속 출마 후 단일화로 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황교안 전 총리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며, 한덕수와의 단일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그러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일부 의원은 “또 외부 용병이냐”며 “경선 주자들을 죽이는 행위”라고 비판한다. 한덕수의 침묵은 긍정으로 해석되지만, “관료 한계”와 “윤석열(탄핵 4월 4일)과의 관계”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그의 헌재 지명(4월 8일, 이완규·함상훈)은 “도전적 행보”로 보수층 공략 의도로 읽히기도 한다.
대선 판세와 한덕수 대망론의 실체
6월 3일 대선을 50일 앞둔 상황에서 이재명은 압도적 우세를 유지한다. 한덕수는 갤럽 조사(4월 10일)에서 2%로 하위권이지만, 국민의힘 내부 추측으로는 “이재명과 양자 대결 시 예상 밖 결과”가 나와 고무된 분위기다. 한덕수 대망론은 “국제 신사” 이미지로 이재명(12개 혐의)의 “양아치” 이미지를 대조하며, 단일화 시 시너지를 기대한다.
윤석열 지지층(2030 세대 “윤 Again” 바람)과 한덕수 관계도 변수다. 한덕수가 “윤심”을 흡수하며 보수 결집을 이끌지, 아니면 경선 불참으로 무소속 단일화 카드가 현실화될지는 주말 결단에 달렸다. 국민의힘 51명 성명서는 한덕수 대망론이 단순 소문이 아닌 실체임을 보여준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자 가상 대결’ 한덕수 급부상: 이재명 47.3% vs 한덕수 36.3% vs 이준석 5.5% (0) | 2025.04.13 |
---|---|
폭스 뉴스 “한국 대선 부정선거 99%” 보도…근거는 무엇인가 (3) | 2025.04.12 |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 한덕수 경선 불참…국민의힘 대선 판도 요동 (0) | 2025.04.12 |
윤석열, 참모들에 “구치소 53일이 임기 중 가장 빛난 시간…이제 시작이다, 싸우자” (0) | 2025.04.11 |
한동훈 울산 방문 개망신 현장: 배신자 낙인 속 대권 행보 좌초 (1) | 2025.04.11 |
“윤대통령 탄핵에 중국 개입 증거”…시내에 뿌려진 충격 중국어 전단지 (2) | 2025.04.11 |
갤럽 여론조사: 이재명 37%, 김문수 9%, ‘윤 Again’ 바람의 실체 (0) | 2025.04.11 |
한동훈의 충격 몰락: 배신자의 심판은 이제 시작 (1)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