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윤석열, 참모들에 “구치소 53일이 임기 중 가장 빛난 시간…이제 시작이다, 싸우자”

by 크립토스탁 2025. 4. 11.

윤석열의 사저 이사와 참모 격려: 투쟁 선언

2025년 4월 1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로 이사하며, 핵심 참모들과의 자리에서 강렬한 메시지를 남겼다. 채널A 보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정진석 비서실장 등 참모들에게 “구치소에 있던 53일(2025년 1월 12일~3월 5일)이 임기 중 가장 빛난 시간이었다”며 “그 덕에 국민이 문제를 깨달았다”고 말했다. 그는 “임기 5년을 마친 과거 정부보다 많은 일을 했다”며 “자랑스럽고 당당하게 물러난다”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 인권, 법치를 짓밟는 세력을 미래 세대에 알리고 나라를 지켰다”며 “이제 시작이다, 싸우자”고 투쟁을 선언했다. 참모들이 눈물을 흘리자 “너희 잘못이 아니다, 올바른 길을 걸었다”고 위로하며, 직원들은 “영원한 대통령 윤석열” 플래카드로 배웅했다.

구치소 53일의 의미: 국민 각성과 ‘윤 Again’ 바람

윤석열는 비상계엄(2024년 12월 3일) 선언 후 체포·구속(2025년 1월 12일~3월 5일, 53일)을 겪으며 “가장 빛난 시간”으로 평가했다. 이는 “국민 각성”을 이끈 계기로, 2030 세대를 중심으로 “윤 Again” 바람이 불고 있다. 4월 11일 사저 이사 현장에서도 청년들이 “윤석열 어게인”을 외치며 눈물과 박수로 환영했다.

그는 “좌파 폭주와 반국가 세력 실체, 부정선거 의혹”을 알리려 계엄을 선포했으나, 헌재 탄핵(2025년 4월 4일)으로 좌절됐다. 국민의힘 지도부(한동훈 등)는 “내란죄” 프레임에 동조하며 “윤과 선 긋기”를 선택했지만, 국민은 “윤석열이 나라를 지켰다”며 지지층으로 떠받쳤다.

투쟁 선언의 배경: 반국가 세력과 법치 붕괴

윤석열는 “친중·친북·반국가 세력”이 대한민국을 장악했다고 경고하며, 구치소 53일이 이를 드러낸 계기라고 봤다. 그는 체포(2025년 1월 12일), 구속 연장 시도, 헌재의 “초시계 재판” 등 “현직 대통령에 대한 무지막지한 처우”를 통해 “법치 붕괴”를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개몽령”으로 국민을 깨웠다고 자평했다.

JTBC 등 언론에 “중국 자본 1천억 투자” 의혹과 중국인 공안·간첩 활동(비행기 촬영 등) 보도가 이어지며, 윤 전 대통령의 “반국가 세력” 주장은 힘을 얻고 있다. 그는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우자며, “중도 타령” 대신 투쟁을 택한 국민의힘 후보들과 대비된다.

대선과 윤석열의 미래: 투쟁의 새 국면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37%, 갤럽 4월 10일)이 우세한 가운데, 윤석열의 투쟁 선언은 “윤 Again” 지지층(2030 세대)을 넘어 보수 재건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법적 재출마는 불가능(헌법 중임 금지, 공직선거법 5년 제한)이지만, 그의 영향력은 “사저 정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윤석열는 “쓰나미 같은 파도”로 대한민국을 뒤흔들겠다고 다짐하며, “국민 각성”을 대선 국면의 변수로 키웠다. 국민의힘 후보(김문수 9%, 한동훈 4%)가 “중도 타협”에 치우친 반면, 윤 전 대통령의 “싸우자” 외침은 청년층과 보수층의 새로운 애국심을 자극하며 정치적 파장을 예고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