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김동연·김두관 "중대 결심" 반발: 이재명 유리한 경선 룰 변경 파문

by 크립토스탁 2025. 4. 13.

 

민주당 경선 룰 변경: 이재명 1극 체제 논란

2025년 4월 12일, 성창경TV는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경선 룰 변경 논의가 비명계(비이재명계) 주자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고 보도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으로 6월 3일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특별당규를 잠정 결정했다. 이는 기존 국민경선(대의원·권리당원+일반 국민 선거인단) 방식을 폐지한 것으로, 이재명 전 대표(47.3%, 리서치민 4월 11~12일)에 유리한 룰로 평가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은 이를 “이재명 추대 경선”이라며 “중대 결심”을 예고, 심지어 경선 불참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민주당은 4월 12일 의원총회와 최고위원회 논의를 거쳐 이 방식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었으나, 비명계의 반발로 내홍이 격화되고 있다. 김동연 측은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만든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했다”며 룰 재고를 촉구했고, 김두관 측은 “일방적이고 비민주적 결정”이라며 경선 참여 의미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논란은 이재명의 당 장악력과 독주 체제를 둘러싼 갈등을 드러내며 대선 국면에 중대한 파장을 예고한다.

김동연의 반발: “국민경선 파괴, 무늬만 경선”

김동연 캠프는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통해 강하게 반발했다. 고 전 부지사는 입장문에서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노무현·문재인 대통령을 배출한 국민경선 원칙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쳤다”고 비판했다. 그는 16대 대선(2002년)부터 20대 대선(2022년)까지 국민경선이 민주당의 중도성과 대표성을 높여 당선 가능성을 키웠다고 강조했다.

고영인은 “국민경선을 포기하는 것은 국민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라며 “특정 후보(이재명)를 위한 룰은 공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재명에게 “국민경선 폐지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하며, “심각한 고민과 결단”을 언급했다. 이는 무소속 출마나 경선 보이콧 같은 극단적 선택을 검토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김동연은 현재 미국 출장 중으로, 방미를 통해 대미 관세 외교와 경제 전문가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대선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두관의 비판: “어대명 경선, 비민주적 독선”

김두관 캠프도 백왕순 대변인을 통해 “경선 당사자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한 룰은 위험하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백 대변인은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인지 숙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경선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한다. 김두관은 KBS 라디오 인터뷰(4월 12일)에서 “룰 결정 과정이 비민주적”이라며 “민주당이 윤석열과 국민의힘의 불통을 닮아간다”고 비판했다.

김두관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신을 계승하며 권양숙 여사와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4월 9일)하는 등 비명계 지지층 결집을 시도하고 있다. 그는 과거 20대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을 지지하며 사퇴(2021년 9월 26일)했지만, 이번에는 “이재명 독주”에 맞서 완주 의지를 보였다. 백 대변인은 “민주당의 민주성과 다양성이 훼손되고 있다”며 룰 변경이 이재명 1극 체제를 강화한다고 우려했다.

이재명과 친명계의 입장: “어떤 결정도 수용”

이재명은 국회에서 “선수로서 심판의 규칙에 대해 말하지 않겠다”며 “국민과 당원의 뜻에 따른 어떤 결정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4월 11일). 이는 룰 논란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면서도 친명계 주도의 당규위원회 결정을 지지하는 태도로 해석된다. 친명계는 “역선택 방지”와 “당원 주권 강화”를 명분으로 국민경선 폐지를 주장했다. 당규위원회는 카카오톡·유튜브로 조직된 “극우 세력”이 경선에 개입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권리당원 비율을 높여 이재명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춘석 당규위원장은 “당원주권 시대를 열기 위해 권리당원 투표를 강화했다”며 “안심번호 여론조사가 역선택을 방지하는 효율적 방법”이라고 설명했다(4월 12일). 그러나 비명계는 이를 “이재명 대세론을 위한 꼼수”로 보고, 논의 과정에서 후보 간 협의가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재명은 비전 선포식(4월 11일)을 통해 “K-이니셔티브”를 발표하며 대선 행보를 본격화했지만, 경선 룰 논란은 그의 독주 체제에 대한 반감을 키우고 있다.

민주당 내홍과 대선 판세: 비명계의 선택

민주당의 경선 룰 변경은 이재명과 비명계 간 갈등을 심화시키며 대선 국면에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김동연과 김두관의 “중대 결심”은 무소속 출마나 경선 보이콧 같은 파격적 행보로 이어질 가능성을 열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4월 13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룰 변경 비판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세종시 출마 선언 예정). 비명계는 “이재명 1극 체제”가 당의 민주성과 중도 확장성을 훼손한다고 우려하며,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을 대안으로 요구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시간 부족과 역선택 우려를 이유로 기존 룰(국민경선) 유지나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거부했다. 이재명은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힘 후보(한덕수 36.3%, 김문수 33.1%)를 앞서며 강세를 보이지만, 공직선거법 상고심(5월 판결 가능)이 변수다. 비명계의 반발은 경선 흥행을 저해할 수 있으며, 조국혁신당의 오픈 프라이머리 제안(4월 6일)과 연계되며 단일화 논의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보수와의 대조: 민주당 폭주와 국민의힘 무력함

방송은 민주당의 “폭주”와 국민의힘의 “무력함”을 대조하며 양당의 문제를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재명의 독주 아래 공천과 경선 룰에서 비민주적 행태를 보였고, 국민의힘은 윤석열 탄핵 과정에서 당내 갈등(김상욱 의원 탄핵 지지 논란)으로 투쟁력을 잃었다. 민주당의 룰 변경은 “이재명 추대 쇼”로 비칠 위험을 키우며, 국민의힘을 “투명 정당”처럼 보이게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X에서는 “김동연·김두관이 들러리냐”며 비명계 지지층의 분노가 표출됐다.

국민의힘은 한덕수, 김문수, 나경원 중심으로 단일화 논의(5월 3일 후보 선출)를 추진 중이지만, 내부 분열(한동훈 배신 논란, 오세훈 불출마)이 약점이다. 민주당의 내홍은 보수 단결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지만, 비명계의 “중대 결심”이 무소속 출마로 이어지면 대선 판세는 더 복잡해진다. 이재명은 사법 리스크 속에서도 강력한 지지층을 유지하지만, 경선 룰 논란은 그의 리더십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반응형